정부가 오는 2022년까지 실험실형 바이오 벤처 500개를 양성한다. 병원과 학교, 연구소 등의 실험실을 바이오 창업 요람으로 키워 일자리 창출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9일 홍릉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바이오경제 2025 일자리 기업 간담회'를 개최하고, 공공 연구성과를 일자리로 연결하기 위한 '바이오경제 2025 일자리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발표 내용은 2017년 9월 범부처 차원의 바이오 육성전략인 '바이오경제혁신전략 2025' 발표 후 나온 후속 조치다. 바이오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부의 연구개발(R&D) 지원 전략을 담았다.
이번 전략의 핵심은 2022년까지 바이오 실험실 창업 기업 500개를 창출하는 것이다. 실험실 창업이란 대학이나 출연(연)이 논문 또는 특허 형태로 보유하고 있는 신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창업을 뜻한다. 기존에 없던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기술 집약형 창업'이다. 고용창출(평균 9.5명) 및 생존률(5년 80%이상 생존)이 우수(일반창업의 3배)하다는 평가다.
정부는 2016년 기준 1600개인 바이오 실험실 창업 규모를 오는 2022년까지 2100개로 늘리고 바이오 창업의 낮은 성공률과 긴 기간을 극복하기 위한 체계적 지원 방안을 마련했다. 정부는 바이오 창업 500개 양성으로 최소 1만~2만명의 일자리 창출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일자리 전략은 R&D와 일자리 연결, 인력양성 및 창업 인센티브 강화, 규제 개선 등 세 축으로 구성된다.
정부는 우선 국가 바이오 R&D를 재설계해 모든 원천 R&D를 대상으로 창업과 일자리로 연결되는 지원 체계를 만들 계획이다. 연구자가 연구에 전념해 혁신기술을 만들 수 있도록 전문가가 별도로 지원한다.
또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을 중심으로 인력‧장비‧시설‧공간 제공, 사업화 전략 마련 등을 한 곳에서 통합적으로 지원해 창업과 일자리 창출에 생소한 연구자의 어려움과 부담을 최소화한다.
바이오경제혁신전략 2025, 바이오 벤처 500개 양성
안트로젠
줄기세포 원천기술 활용한 치료제 및 피부 미용 개선제 제조.
바이오빌
염료와 산업용 잉크를 만드는 업체이나, 자회사 한국줄기세포뱅크(지분율 97.6%)를 통해 관련 사업 진행 중.
엠젠플러스
유전자 조작 기법인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활용해 발암유전자 등 특정 유전자를 골라 제거하는 기술 연구.
파미셀
세계 최초 시판 허가 받은 줄기세포 치료제 '하티셀그램-AMI' 개발 업체. 간경변증 치료제, 항암면역세포 치료제, 뇌혈관질환 치료제 등을 파이프라인으로 보유. 간경변 줄기세포치료제 ‘셀그램-LC’ 임상 2상 성공(2016.7.11).
안국약품
강스템바이오텍(217730)과 건선 줄기세포치료제 공동 개발 계약 체결. 건선은 피부각질 동반한 대표적인 난치성 만성 피부질환임.
홈캐스트
셋톱박스 제조 기업으로 황우석 박사가 대표로 있는 줄기세포 전문 기업 에이치바이온 지분 21.95% 보유해 관계기업으로 분류.
차바이오텍
태반줄기세포 망막치료제와 스타가르트질환 치료제,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
조아제약
돼지 유전자 단백질제조기술 일본 특허 획득.
프로스테믹스
AAPE(단백질 성분의 줄기세포 배양액)을 함유한 화장품을 개발해 국내외에 판매.
코아스템
난치성 질환에 특화된 줄기세포치료제 기업. 루게릭병 줄기세포 치료제 '뉴로나타-알' 개발. '15년 2월 첫 환자 투약 성공, 당해 40억원 매출 기록.
테고사이언스
세포배양 기술 활용한 줄기세포치료제 제조. 환자 자신의 피부줄기세포 이용한 홀로덤, 타인의 피부줄기세포 이용한 '칼로덤'이 주력 제품.
네이처셀
줄기세포 연구개발 및 음식료 제품, 건강기능식품(발효식품)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음식료 매출 비중이 70%, 17년 감사보고서 기준)
셀트리온헬스케어
셀트리온이 제조한 바이오시밀러 및 기타 의약품에 대해 해외 독점 판매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마케팅 및 판매활동을 담당.
셀트리온제약
셀트리온이 제조한 램시마, 허쥬마 등의 국내 유통을 담당하고 있으며 제네릭 제품 개발.
팬젠
바이오시밀러 개발·생산 업체.
영인프런티어
항체 제조 및 항체신약 개발사. 실험·연구용 장비와 소모품 유통업도 함. 셀트리온(068270), 삼성에 바이오시밀러 연구용 항체 공급 계약 레퍼런스 보유.
알테오젠
유방암치료제 바이오시밀러 개발 및 임상 추진 중.
시노펙스
바이오시밀러 생산에 필요한 필터 생산업체로, 미국 FDA 승인 신청.
서린바이오
바이오 시약 및 기자재 유통 업체. 세계 50여개 기업에서 바이오의약품 연구·생산에 필요한 시약, 장비, 소모품 등 수입 및 유통.
이수앱지스
희귀질환 치료제 주력의 바이오시밀러 업체로, 희귀의약품인 고셔병 치료제 '애브서틴'은 5개국(에콰도르, 이란, 파라과이, 볼리비아,멕시코) 허가완료, 이외 이머징 1개 국가에서 품목허가 진행중(2016.4.11)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연구·개발 업체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 혈액암 치료제 트룩시마, 유방암 치료제 허쥬마 등을 개발 및 출시.
바이넥스
바이오의약품의 연구개발과 생산을 대행하는 CMO(의약품 위탁 생산).
삼성바이오로직스
바이오의약품을 위탁 생산하는 CMO 기업으로, 바이오시밀러 개발업체인 삼성바이오에피스(지분율 91.2%)를 자회사로 두고 있음.
에이치엘비
복합소재와 바이오 사업을 영위 중인 기업으로, 자회사 LSK바이오파마(지분율 56.22%)가 경구용 표적항암제 임상 진행.
아이진
바이오 신약개발사로 당뇨망막증 치료제, 욕창치료제, 자궁경부암 백신 등에 대한 특허권 보유.
신라젠
유전자 재조합 항암 바이러스에 기반한 차세대 항암치료제의 연구 및 개발. 유전자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를 이용한 항암제 펙사벡(Pexa-Vec) 으로 글로벌 임상 3상 진행.
녹십자홀딩스
핵심 자회사인 녹십자(006280)(지분율 50.1%)가 국내에서 가장 많은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 중이고, 그 외 자회사를 통해 바이오의약품 개발 등을 추진.
바이로메드
주요 파이프라인은 당뇨 합병증으로 인한 족부궤양 및 허혈 치료제, 유방암 치료제와 희귀질환인 루게릭병 치료제 등으로 글로벌 임상 진행.
제넥신
바이오 신약 개발 업체로 유전자 치료 백신 사업 영위. GX-H9 소아 및 성인 성장호르몬, 항암 유전자 치료백신 GX-188E(자궁경부전암, 자궁경부암, 두경부암) 개발 중.
펩트론
약효지속성 당뇨 치료제, 파킨슨병 및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등 개발.
인트론바이오
치료제(N-Rephasin® SAL200), CRE(Carbapenem-resistant Enterbacteriacease) 등 그램음성균 포함, 광범위 슈퍼박테리아 치료제(N-Rephasin® NPA200)를 주력 파이프라인으로 글로벌 임상 진행 중.
한미사이언스
다중표적 항암신약, 비만·당뇨 치료제, 면역질환 치료제 등 개발 중인 한미약품(지분 41.7%) 보유한 의약품 도소매업체.
JW홀딩스
표적항암제,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를 개발 중인 JW중외제약(001060), 암세포치료제를 개발 중인 JW중외신약(067290)을 자회사로 둔 지주사.
종근당홀딩스
핵심 자회사인 종근당(185750)이 국내에서 가장 많은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 중.
녹십자
B형간염 바이오신약, 면역 결핍증 치료제 등을 개발 중으로, 종근당(185750)과 함께 국내에서 가장 많은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 중인 것으로 평가.
앱클론
항체 신약 전문 개발 기업으로 위암, 유방암, 대장암, 고형암 및 자가면역 질환인 류마티스관절염 등 치료 단백질 후보군 발굴.
레고켐바이오
신약 개발 업체로, ADC(항체와 약물 연결) 플랫폼 보유. 항암제 개발 등에 필요한 원천기술 확보.
JW중외제약
표적항암제,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개발 중.
한미약품
단백질 의약품의 반감기를 늘려주는 플랫폼 기술인 LAPSCOVERY 기술을 이용. 당뇨, 비만, 호중구감소 및 인성장호르몬 결핍 치료제, 희귀질환치료제 등을 개발.
한독
제넥신과 함께 소아 및 성인 성장호르몬을 개발.
이연제약
바이로메드와 함께 유방암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으며 바이로메드의 바이오 신약 위탁생산(CMO)을 담당.
큐리언트
신약 개발 업체로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 결핵 치료제, 암 치료제 등 개발.
코오롱생명과학
세포유전자치료제 최초 골관절염 치료제 티슈진 개발. 국내 출시. 해외는 글로벌 임상 3상 진행 중.
코오롱티슈진(Reg.S)
무릎관절염치료제 인보사 개발하는 업체로 미국 임상 3상 진행중이며 한국 임상은 모두 종료. 최대주주는 코오롱 31.16%, 코오롱생명과학 14.37% (2017년 반기기준). 아시아 판권은 코오롱생명과학이 보유
종근당
당뇨신약, 골협압 개량신약 등을 개발 중으로, 녹십자와 함께 국내에서 가장 많은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 중인 것으로 평가.
세원셀론텍
RMS 사업부에서 세포치료제, 제대혈보관, 콜라겐화장품 등을 제조 및 판매.
메디포스트
제대혈 보관 및 조혈모세포 이식 등 제대혈 은행 운영.
녹십자랩셀
NK면역세포치료제 연구 개발 및 제대혈 은행사업 영위. 지방줄기세포와 면역세포 뱅킹을 추가하며 제대혈 보관 사업 영역 확대.
녹십자셀
항암면역세포치료제사업, 면역세포은행사업, 제대혈 은행사업을 영위. 제대혈 줄기세포를 보관, 필요시 공급.
보령메디앙스
보령제약 그룹 가족제대혈 은행 브랜드인 보령아이맘셀을 통해 제대혈 사업 영위.
강스템바이오텍
줄기세포를 제대혈로부터 고순도로 분리, 대량배양 기술 기반으로 동종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치료제(의약품) 연구 개발.
'TOP테마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미 정상회담, 한반도 비핵화 의지 확고 원전해체 관련주 (0) | 2018.06.01 |
---|---|
북한 산림복원, 남북 조림사업 병해충 방제 관련주 (0) | 2018.05.31 |
애플 2019년 아이폰 신모델 3종 OLED 채택 관련주 (0) | 2018.05.29 |
판문점 실무회담, 북핵 완전한 해체 한미훈련 중단 요구 관련주 (0) | 2018.05.29 |
2차남북정상 회담, 북미회담 재개, 남북경협 관련주 모음 (0) | 2018.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