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OP테마주

애플 2019년 아이폰 신모델 3종 OLED 채택 관련주

애플이 내년 아이폰 신모델 전량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채택하기로 확정했다. 프리미엄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보급형 모델에도 OLED를 채택하겠다는 것이다. 그동안 수요 감소로 위축된 OLED 부품업계가 반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8일 복수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애플은 2019년 아이폰 신모델 기획을 시작했으며, 3종 모두에 OLED를 채택하기로 결정했다. 


그동안 업계는 올해 아이폰 2종은 OLED, 1종은 LCD로 각각 출시하고 내년에도 이와 동일한 선택을 할 것으로 관측했다. 애플 내부 사정에 밝은 한 관계자는 “최근 애플이 2019년 아이폰 모델 기획을 시작했고, 3종 모두에 OLED를 채택키로 했다”면서 “아이폰Ⅹ(텐)에 채택한 OLED가 저온다결정실리콘(LTPS) LCD보다 화질, 성능 등에서 상당히 우수하다고 평가하는 등 내부 만족도가 높다”고 전했다.


다른 관계자도 “애플이 2019년 아이폰 신모델에 전량 OLED를 탑재하는 방침을 세웠다”면서 “만약 신모델이 3종보다 늘 경우 LCD 모델이 유지될 수도 있지만 기존처럼 3종을 유지하면 전량 OLED만 선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애플이 아이폰 신모델 전량에 OLED를 채택하면 모바일 LCD 시장은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아이폰용 LTPS LCD를 가장 많이 공급하는 일본 재팬디스플레이(JDI)가 직격탄을 맞는다. LG디스플레이는 아이폰에 플렉시블 OLED를 공급하지 못하면 모바일 매출 감소를 피할 수 없다. 후방기업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현재 OLED 패널 단독 공급사인 삼성디스플레이는 실적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수급 물량이 늘어나면 단독 공급사 체계를 선호하지 않는 애플 특성상 LG디스플레이가 새롭게 공급사로 정식 선정될 가능성도 있다. 경연성인쇄회로기판(RFPCB)을 비롯해 OLED 주요 부품·소재 업체도 성장 기회를 맞게 된다.


업계는 애플이 전량 OLED를 채택하면 프리미엄 스마트폰 위주로 채택된 플렉시블 OLED가 중급형 시장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애플 2019년 아이폰 신모델 3종 OLED 채택 관련



엘비세미콘

LG그룹 방계기업으로 디스플레이 회로칩 생산. OLED TV에 들어가는 DDI(구동회로칩) 생산.


덕산네오룩스

OLED 소재 업체로 HTL(정공수송층)과 EML(발광층) 소재를 담당, 주 매출처는 삼성디스플레이.


이녹스

FPCB(연성인쇄회로기판)용 핵심 소재 업체로, OLED TV용 봉지재료 필름도 생산.


SKC코오롱PI

PI(폴리이미드) 필름 생산업체. 플렉시블(휘어지는) 디스플레이에 채택 가능성.


AP시스템

분할 전 회사인 APS홀딩스가 영위하던 사업 중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장비를 제조, 판매하는 장비사업부문을 담당


아이씨디

LCD, 반도체 및 평판 디스플레이(AM-OLED, TFT-LCD 등) 장비 제조를 주 사업


원익테라세미콘

AMOLED,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제조를 위한 장비, 재료, 부품의 제조 및 판매를 주된 사업으로 영위 


HB테크놀러지

국내외 LCD 및 AMOLED 검사장비의 최첨단 제품 생산 등을 주 영업


아이컴포넌트

IT기기용 필름 제조사로, 플렉시블 OLED용 Barrier Film(차단성 필름) 생산.


아나패스

TV용 부품 업체로, OLED TV용 T-CON 부품 개발.


코오롱인더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핵심 부품인 윈도우 커버용 CPI필름 개발·양산 준비중


실리콘웍스

디스플레이 구동칩인 드라이버IC 개발업체로, LG와 애플이 주 매출처. 단가가 높은 OLED TV용 드라이버IC 담당.


코리아써키트

PCB(인쇄회로기판) 제조사로, OLED 패널용 MLB(다층인쇄회로기판) 생산.


아바텍

디스플레이 패널 코팅 및 식각 업체. 애플이 향후 OLED 패널을 채택함에 따라 대규모 시설 투자를 통해 플렉서블 OLED 연구개발과 필름 코팅 시설 매입.


에스앤에스텍

국내 유일의 반도체·디스플레이 필수소재 블랭크 마스크 제조사. 주 고객사는 삼성디스플레이와 중국 기업. 고마진의 OLED용 블랭크 마스크 생산.


솔브레인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용 화학 소재업체로, 삼성을 주 매출처로 두고 있음.


스킨앤스킨

OLED 소재 및 승화정제장비 업체로, HTL(정공수송층) 및 그린호스트 부문 주력.


원익머트리얼즈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용 특수가스를 만드는 회사로, 삼성을 주 매출처로 두고 있음.


키다리스튜디오

OLED 시뮬레이터(OLED 설계) 소프트웨어 세계 시장 점유율 80%(회사 자체 조사).


삼성물산

건설, 화학소재, 패션, 단체급식 사업 영위. OLED 발광층 핵심 소재 생산 중이며, 독일의 노발레드(Novaled)를 인수하면서 경쟁력 강화.


와이엠씨

디스플레이 부품 업체로, OLED용 소재 개발.


신화인터텍

LCD TV용 광학필름 만들다가 최근엔 OLED 패널에 적용되는 필름(블랙차광 테이프) 생산.


램테크놀러지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용 소재 업체로, OLED 공정용 마스크 세정액 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