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간편결제 시장이 수수료율을 낮춘 서비스의 연이은 출현으로 변화의 기로에 서게 될 전망이다. 서울시가 최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수수료율 0%를 제시한 서울페이 서비스 계획을 소개한 데 이어 31일 한국은행이 모바일 직불서비스를 내용으로 하는 플랫폼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이들 서비스 모두 부가가치사업망(VAN)을 거치지 않는 등 결제 프로세스를 단순화 시켜 수수료율을 줄이는 방식을 택하고 있어 기존 결제시장의 구도가 흔들릴 것으로 보인다.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의장 한국은행 부총재)는 고객의 은행예금계좌를 기반으로 한 모바일 직불서비스 도입을 추진하기로 의결하고 관련 기술표준 개발, 플랫폼 구축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31일 밝혔다.
은행권 모바일 직불서비스
스마트폰을 활용해 거래대금을 실시간으로 구매자 계좌에서 인출, 지급해 다음날 가맹점에 입금하는 방식으로 결제 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직불형 지급서비스다.
한국은행은 모바일 직불서비스 도입으로 소비자와 가맹점이 어떤 은행이든 예금계좌를 가지고 있으면 서비스를 이용해 결제가 가능하고 스마트폰을 활용하므로 별도의 단말기(POS등)가 필요 없다는 점을 장점으로 들었다. 또, 결제과정의 중계, 대행 단계를 축소, 생략할 수 있어 수수료 절감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최근 서울시가 수수료율 0%를 내세우면서 시장의 관심을 모으고 있는 서울페이 등 정부 및 일부 지자체가 추진중인 페이 서비스 등의 인프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는 QR코드 인식 등을 통한 모바일 기기간 통신(App-to-App) 방식으로 결제정보를 교환해 구매자의 계좌에서 대금이 인출, 지급되는 방식을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은행권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표준을 마련, 모바일 직불서비스 앱(플랫폼) 구축 등을 추진해 내년 상반기 중 서비스 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은행권 공동의 모바일 직불서비스 앱(플랫폼)을 개발하고 개별 은행의 자체 모바일 앱에 직불서비스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도 개발, 제공한다.
은행권은 오는 11월 중으로 공동 모바일 직불서비스 플랫폼 개발에 착수해 2019년 상반기 중으로 공동 모바일 직불서비스를 개시한다는 계획이다.
'TOP테마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정위, 재벌개혁 일감몰아주기 낙폭과대 접근 관련주 (0) | 2018.08.01 |
---|---|
BTS 방탄소년단, 8월 24일 컴백 방탄 관련주 (0) | 2018.08.01 |
폴리실리콘 가격 폭락 후 횡보, 3분기 접근 태양광 관련주 (0) | 2018.07.31 |
1인가구 증가 수혜, 가정간편식(HMR) 관련주 (0) | 2018.07.30 |
군복무 기간 단축, 과학기술군 정예화 수혜주 (0) | 2018.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