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OP테마주

스마트폰제조사 카메라 스펙 경쟁, 트리플 카메라 관련주

전세계 스마트폰 제조사들마다 디자인과 기능이 유사해지면서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카메라 사양을 높여 차별화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내년 초 출시할 10주년 기념작 ‘갤럭시S10’ 3종 가운데 2종에 트리플 카메라 탑재를 결정했다. 갤럭시S10의 내부 코드명은 ‘비욘드0·1·2’로 불리며, 당초 최고급 스마트폰인 비욘드2에만 적용할 계획이었으나 최근 비욘드1까지 확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되면 비욘드2는 전면 듀얼 카메라까지 총 5개의 카메라를 탑재하게 된다. 전면에는 전작인 갤럭시S9+(플러스)에 적용한 1200만화소 듀얼픽셀 광각·망원 듀얼카메라가, 후면에는 여기에 1600만화소 초광각카메라가 추가된다. 초광각센서 추가로 화각범위는 전작인 갤럭시S9+의 77도보다 훨씬 넓은 120도까지 확대된다. 


LG전자는 이보다 앞서 올 하반기쯤 차기 전략 스마트폰 V40에 총 5개의 카메라를 탑재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LG전자는 전면에 1600만화소 일반각·초광각 카메라로 구성된 듀얼 카메라를, 후면에는 광학 줌렌즈가 더해진 트리플 카메라 적용이 유력하다. 


LG전자는 앞서 V30에 이미 최대화각 120도의 카메라를 탑재했던 만큼 화각범위는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 V30보다 나중에 출시된 G7 씽큐의 최대화각은 107도로, LG전자는 인간의 시야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범위로 좁혔다고 설명했다. 


트리플 카메라 탑재는 사실 지난 3월 중국 화웨이가 ‘P20 프로’에 가장 먼저 선보여 주목받은 바 있다. 이런 가운데 애플도 내년에 출시할 차세대 아이폰에 트리플 카메라를 탑재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애플의 트리플 카메라는 현재의 듀얼 카메라에 3배 광학 줌 기능이 더해져 화질 저하없이 최대 3배까지 확대할 수 있게 된다. 


애플 아이폰의 트리플 카메라는 평소 관심을 나타내 온 AR(증강현실) 기능을 강화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단순히 트리플 카메라 탑재에 주목할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적용될 신기능에 더 주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애플이 망원렌즈가 탑재된 듀얼카메라를 활용해 인물사진 모드를 선보였던 것처럼 새로운 기술과 기능이 함께 어우러져야 소비자들에게 진정한 혜택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제조사별로 트리플 카메라를 활용한 어떤 기능이 새로 추가될 지에 주목해보는 것도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스마트폰제조사 카메라 스펙 경쟁, 트리플 카메라 관련주



삼성전기

삼성그룹 계열사로 휴대폰용 카메라모듈 제조, 삼성 스마트폰에 주로 탑재.


LG이노텍

LG그룹 계열사로 휴대폰용 카메라모듈 제조, LG 스마트폰과 더불어 애플과 중국 등을 주 고객사로 확보 중. 3D센싱 적용 듀얼카메라 모듈 생산.


나무가

3D스캔 기능 중심. 자율주행 및 동작인식 등의 기술과 접목 디스플레이 기반 IT기기, 드론, 자동차, 로봇 등 업체에 공급.


하이비젼시스템

듀얼카메라, 3D카메라의 제조에 필요한 어셈블리 및 검사장비 원천기술 보유.


미래컴퍼니

ToF(Time of Flight)기술 적용된 3D Range Camera 제품군 보유, 중∙장거리(10~15m)에 적합, 간섭현상에 강함.


엠씨넥스

카메라 모듈 및 응용 제품 개발 전문 업체로 모바일용 ios카메라, 듀얼카메라 모듈을 개발.


덕우전자

스마트폰 카메라모듈용 이물질 차단(스티프) 및 내구성 강화(브라켓) 부품 제조사. 듀얼카메라 등장으로 고부가가치 부품인 브라켓 등 비중 상승.


유티아이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는 윈도우 글래스, 커버글래스, 센서 글래스등을 삼성전자 등에 납품.


세코닉스

휴대폰 카메라용 렌즈를 생산하는 기업으로, 삼성전자가 주 고객으로 두고 있으며 국내에서 가장 큰 생산능력 확보.


이즈미디어

휴대폰 카메라 모듈 조립·검사 자동화 장비 제조.


하이비젼시스템

카메라모듈 제조 및 검사장비 업체로, 모듈 생산 증가시 검사 수요 함께 증가.


동운아나텍

휴대폰 카메라의 구동칩을 설계하는 회사로, 삼성전자, LG전자, 샤오미, 화웨이, ZTE, 소니, 샤프 등 해외 스마트폰 업체를 고객사로 확보. 중국 모바일 AF(오토 포커싱) 시장 60% 점유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 점유율 38%


아이엠텍

우리조명그룹의 계열사로 카메라 모듈 제조 주력. NFC안테나와 무선충전, 메탈케이스 사업도 진행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