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OP테마주

유럽 자동차 관세 문제 해결 기대감 반등, 자동차 부품 관련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유럽연합(EU) 자동차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 입장을 바꿀 경우 EU가 관세 장벽을 낮추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메르켈 총리는 5일(현지시간) 빅토르 오르반 헝가리 총리와 정상회담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힌 뒤 "우리는 이에 대해 논의를 계속 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메르켈 총리는 이어 "관세를 낮출 경우 단지 미국 차량에 대해서만 할 수 없다"면서 세계무역기구(WTO)의 규정에 따라 다른 국가를 상대로도 동등한 관세 인하를 검토해야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앞서 리처드 그레넬 독일 주재 미국 대사는 다임러·폭스바겐·BMW 등 유럽 자동차 회사 최고경영자(CEO)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유럽산 수입차에 대한 관세 적용을 보류하는 조건으로 EU가 미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무효화하기를 원한다”고 밝혔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 5월 수입차가 국가 안보를 저해하는지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EU가 관세를 낮추지 않으면 유럽산 수입차에 20%의 관세를 물리겠다고 위협했다. 이에 EU 집행위원회는 미 상무부에 2940억달러(약 329조원)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에 보복관세를 적용 하겠다며 맞서왔다. 


유럽 자동차 관세 문제 해결 기대감 반등, 자동차 부품 관련주



뉴욕증시 주요 지수는 미국과 유럽연합(EU)의 자동차 관세 관련 갈등이 해결될 것이란 기대감에 상승 마감했다. 미국과 EU가 자동차 관세 관련 해법을 찾을 수 있다는 기대도 떠올랐다.


메르켈 총리는 다만 "자동차 관세를 재논의하기 위해 EU의 동의가 필요하다"며 "관세 인하는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에 따라 미국산 차뿐 아니라 모든 수입차에 적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유럽 및 미국의 자동차회사 주가가 일제히 올랐고 국내에도 영향이 미치고 있다.


현대차

국내 1위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완성차 제조업체로, 공정거래법상 현대자동차그룹에 속하였으며 현대자동차그룹에는 동사를 포함한 국내 56개 계열회사


기아차

국내 2위 완성차 기업으로, 현대자동차그룹에 속한 회사로서, 완성차 및 부분품의 제조ㆍ판매, 렌트 및 정비용역을 사업으로 영위


현대모비스

현대자동차 그룹의 자동차 부품업체로, 종합 모듈 생산에 주력. 최근엔 ADAS(첨단 운전자 보조 장치) 등 스마트카 부품 개발에 주력.


쌍용차

자동차 제조사로, 주력 제품인 티볼리(Tivoli) 포함 '렉스턴', '코란도' 등 생산. 최대주주는 인도 마힌드라 그룹(지분율 72.8%, 2016.12.31).


만도

자동차부품 업체로 종합 모듈과 제동장치, 조향장치 등 생산. 최근엔 ADAS(첨단 운전자 보조 장치) 등 스마트카 부품 개발에 주력.



자동차 부품주


아진산업, 코리아에프티, 대유플러스, 청보산업, 현대위아, 성우하이텍, 한온시스템, 한라홀딩스, 한국타이어, 대성엘텍, 미동앤씨네마, 대유에이텍, 경창산업, 동국실업 ,넥센, 대원강업, 태원물산, 넥센타이어, 코프라, 금호타이어, 인지컨트롤스, 영신금속, 디티알오토모티브, 삼기오토모티브, SG&G, 에스엘, 디아이씨, 동일고무벨트, 현대공업, 평화정공, 동원금속, 새론오토모티브, 일지테크, 한국프랜지, 영화금속, 포메탈, 한국큐빅, 한국타이어월드와이드, 이원컴포텍, 뉴프라이드, 유성기업, 한국단자, 두올산업, 서연전자, 서연이화, 화신, 세방전지, 삼성공조, 세원물산, 풍강, 광진윈텍, 모토닉, 티피씨글로벌, S&T모티브, 에이엔피, 유라테크, 서진오토모티브, 서연